중국 3D프린트산업 발전 계획과 동향
□ 3D프린터산업 발전추진계획 발표
○ 2015년 2월 28일, 공업정보화부(工業和信息化部), 발개위(发展改革委), 재정부(财政部)는 공동으로 ‘2015-2016년 국가 적층가공산업 발전추진계획(国家增材制造产业发展推进计划2015-2016年)’(이하, 계획)를 발표
– ‘적층가공(Additive Manufacturing)’은 3D프린터 기술로 각종 부품 제조와 주얼리, 패션잡화, 건축, 자동차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음.
– 동 ‘계획’은 3D프린터산업 분야에서 처음으로 발표된 국가 차원의 발전 정책으로 정부가 3D프린터산업을 국가 산업으로 중시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함.
○ 중국 정부는 2016년까지 기초적인 3D프린터 산업체계를 구축하고, 연평균30% 이상의 매출 신장을 도모할 계획임.
– 특히 우주항공 등 직접 제조 분야에서 중국 3D프린터 기술을 세계 선진수준으로 제고시켜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일 계획임.
– CCID컨설팅(赛迪顾问)은 최근 발전 형세를 미루어볼 때 30%의 성장률 목표는 실현 가능성이 크며, 향후 3D프린터 소재와 서비스 분야의 시장 잠재력이 매우 클 것으로 전망함.
○ 중국은 향후 3D프린터산업 발전을 위해 재정조세, 자금조달 방식 확대,인재육성 지원, 국제 교류와 협력 강화 등의 정책적 지원을 제공할 방침임.
– 3D프린터기업의 국내외 증시 상장, 비금융기업채 발행 등 직접융자(자금조달)를 장려
– 국가과학기술계획기금 등을 이용하여 3D프린터 기술의 연구개발을 지원하고, 스마트제조장비 관련 분야의 특별자금과 연계한 3D프린터산업 발전 지원정책을 연구할 계획임.
□ 주요 발전 대상
표 1 3D프린터산업 특수소재 발전 계획
22

○ ‘계획’에 따르면, 중국은 3D프린터용 소재 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며, 특히 우주항공, 자동차, 문화콘텐츠, 바이오의학 등 분야의 수요를 반영한특수소재를 개발할 계획임.
– 소재 분야의 기술적 취약점을 보완하고 핵심기술을 장악하기 위해 관련산업협회와 기술혁신센터 5~6곳을 설립
– 2016년까지 티타늄 합금, 고강도 철근, 고내열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특수소재의 자체 생산을 실현
○ 응용 수요가 많고 광범위한 3D프린팅 기술수준 제고에 주력하는 한편, 그와 관련된 디지털 모형, 공학 소프트웨어 및 제어 소프트웨어를 개발함.
– 3차원 이미지 스캔, 컴퓨터 보조 설계 등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도모- 금속 구조재 성형의 열응력 제어, 변형 및 깨짐 방지, 조직 성능 제어 등문제와 비금속소재 성형기술의 온도 제어, 변형 통제, 소재 구성비율 제어 등 난제를 해결
표 2 3D프린팅 공학기술 발전 계획
22

○ 자체 지적재산권을 보유한 3D프린팅 제조장비를 연구 개발하고, 금속소재3D프린터 장비의 효율성, 정밀성을 높임.
– 3D프린터 장비에 필요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핵심 부품을 중점적으로 연구 개발할 방침임.
– 다양한 3D프린터 의료기기의 제품분류, 임상검증, 제품등록, 시장진입 등관련 법규와 정책 환경 개선에 노력함.
□ 중국 3D프린터산업 발전 현황
○ 시장 규모
– 산성(三胜)산업연구센터의 통계에 따르면, 중국 3D프린터시장 규모는 2012년 약 10억 위안에서 2013년 20억 위안으로 확대됨.
– 2014년 시장 규모는 약 37억 위안으로 추산되며, 2016년에는 1,00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됨.
– 미국, 독일 등 선진국에 비해 중국의 3D프린터산업은 아직 발전초기단계이며, 시장 응용 면에서는 연구개발단계에 지나지 않지만, 향후 산업과개인 소비시장으로 빠르게 확대될 전망임.
○ 기술 개발 현황
– 중국은 3D프린터 설계제조기술, 소재기술, 3D설계 및 성형 소프트웨어개발, 3D프린터 산업응용 등 다방면에서 많은 연구 성과를 거두었으며,레이저 직접 금속성형 기술과 세포를 이용한 3D 바이오프린터 기술은이미 세계 선진 수준임.
– 중국의 3D프린터 관련 기술특허 출원건수는 세계 3위로 10%를 차지함.
– 외국 기술 도입을 통해 중국의 3D프린터 기술과 생산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으며, 그 중 탁상용 3D프린터는 높은 가격 경쟁력으로 구미시장에 진출해 있음.
– 하지만 기업 규모가 작고 제품기술이 중저급 시장에 분포해 출력의 정밀도, 속도, 프린터 크기, 소프트웨어 지원 등 방면에서 상업용 수요를 만족시키기는 어려운 수준임.
– 현재 중국은 3D프린터 소재 관련 기술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으며,3D프린터 장치성능과 안정성 면에서도 발전이 미약한 편임.
○ 기업 발전 현황
– 중국 3D프린터 기업은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한 기업과 기술 도입을 기반으로 한 기업의 두 유형이 있음.
– 대학 등 연구기관이 개발한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화에 성공한 기업은 베이징인화(北京殷华), 산시헝퉁스마트기기(陕西恒通智能机器), 후베이빈후기전(湖北滨湖机电) 등이 대표적임.
– 난징즈진리더(南京紫金立德)는 도입한 기술과 직접 개발한 기술을 결합하여 3D프린터를 생산, 판매하고 있음.
– 최근 동부연안지역의 일부 기업에서 3D프린터 설비를 구매하여 모듈설계, 샘플제작, 보조설계, 문물복원 등 관련 분야에서 연구개발 및 생산을지원하기 시작했으며, 정부의 적극적인 발전 정책에 힘입어 향후 3D프린터산업에 투자하는 기업이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.
○ 중국 3D프린터산업의 지역 분포
– 중국 3D프린터 시장은 주강삼각주(珠三角) 지역에 80%가 집중되어 있어 심각한 지역적 불균형을 보임.
– 3D프린터 관련 기술특허 출원은 베이징(北京), 산시(陕西), 상하이(上海) 3개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, 주요 연구 범위는 주로 바이오 프린터, 플라스틱 성형, 이미지 데이터 처리, 디지털 데이터 처리 등임.
– 산시, 랴오닝, 후베이 등 공업 기반이 강한 지역은 금속 분말 성형, 레이저 소결 방식의 3D프린터, 금속소재 도금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고,광둥, 장쑤 등 경공업과 바이오의약산업이 발전한 지역에서는 바이오 프린터와 플라스틱 성형을 위주로 3D프린터산업이 발전함.
– 베이징 칭화대학(清华大学), 산시(陕西)의 시안교통대학(西安交通大学), 시베이공업대학(西北工业大学), 후베이의 화중과기대학(华中科技大学), 상하이의 상하이대학(上海大学), 둥화대학(东华大学) 등에서 3D프린터산업 전문 인력을 많이 배출하고 있으며, 3D프린터산업 기술 연구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.